[안정효의 Q-English]은근히 약 올리는 되받아치기 | ||
입력: 2008년 09월 10일 14:54:20 | ||
quip은 상대방을 웃기기 위해서 못지 않게 약을 올리는 재주로도 활동하는데, 은근하고도 완곡하지만 공격적으로 쓰이는 quip 화법 가운데 하나가 retort(받아치기)이다. ‘반박(refutation)’ ‘말대꾸’ ‘앙갚음’ ‘역습’ ‘보복’을 의미하는 retort에서 재귀성(再歸性) 접두어인 re-를 떼어낸 tort는 법률용어로 ‘불법행위’를 뜻하기도 하지만, ‘비틀다(twist)’라는 의미의 라틴어가 어원으로서, distort는 글이나 말 따위의 내용을 ‘왜곡하다’ 그리고 contort는 얼굴 표정 따위를 ‘일그러뜨리다’라는 말이 된다. 그래서 retort(되꼬다)는 모욕적인 행위나 epithet(모멸적인 말)를 함부로 하는 사람에게 비슷한 모욕 행위나 모멸적인 말을 그대로 되돌려 (갚아)준다는 의미다.
“I can’t even think of how to retort something as ridiculous as your turning down the body.”(자네가 몸뚱어리를 거부하는 행동처럼 그렇게 한심한 태도에 대해서 뭐라고 말대꾸를 하면 좋겠는지 난 생각조차 못하겠어.) 괄호 안의 번역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한 일부러 ‘직역’을 해놓았는데, 더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은 이런 식이 되겠다. “송장(=몸뚱어리)을 놓고 좋다 싫다 자네처럼 말이 많으면 난 도대체 어떻게 짜증을 부려야 좋을지 모르겠구먼.” 이렇게 ‘말대꾸(retort)’를 ‘짜증’으로 바꿔 번역해야 훨씬 더 자연스럽게 여겨지는 까닭은 retort가 짜증이나 화가 난 상황에서 자주 활용되는 어법이기 때문이다. ‘에일리언 2(Aliens)’에서는 이러한 retort 화법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보자. 근육질의 여성 전투대원에게 남성 해병이 노골적으로 성차별적인 발언을 한다. “Have you ever been mistaken for a man?”(혹시 당신을 남자라고 잘못 보는 사람은 없던가요?) 그러자 여성 대원이 짤막하고도 통쾌하게 retort한다. “No. Have you?”(아뇨. 당신은 어때요?) 여성대원의 반박에서는 ever been mistaken for a man(혹시 남자라고 잘못 보는 사람이 하나라도 없었나)이라는 긴 내용이 생략되었다. 그래서 이 짤막한 retort에는 “너도 불알은 달렸다고 자기가 남자인 줄 아는 모양인데, 내가 보기에는 여자만도 못한 무기력하기 짝이 없는 좀팽이(wimp)여서, 세상 사람들은 당연히 너를 여자라고 생각할 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시 누가 널 남자로 잘못 보는 경우가 단 한 번이라도 있었느냐?”라고 비꼬는 깊은 뜻이 담겼다. 이렇게 상대방이 한 말을 의미만 뒤집어서 그대로 반복하여 되쏘는 retort는 1950년대 할리우드 활극영화에서 대단히 애용되던 되받아치기 기법이었다. 다음과 같은 경우도 그런 받아치기에 해당되겠다. ‘기찻길 아이들(The Railway Children)’에서 아버지가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게 되어 생활이 어려워지자 가족이 시골로 이사한다. 그런데 역으로 그들을 마중 나온 마부가 말끝마다 “I daresay”(감히 말씀드리자면=아마 그렇겠죠=여부가 있겠습니까)라는 소리를 하자 짜증이 난 어머니가 retort한다. “If you say ‘I daresay’ once more, I will have hysterics, I daresay.”(당신이 “감히 말씀드리자면”이라는 소릴 한 번만 더 하면 내가 돌아버리겠다고 감히 말씀드리겠어요.) 종교인의 독선과 위선을 충격적으로 묘사하여 단편소설이면서도 걸작 고전이 된 서머셋 모옴의 ‘비(Rain)’를 영화로 만든 ‘비에 젖은 욕정(Miss Sadie Thompson)’에서, 환락가의 여인 리타 헤이워드를 첫눈에 보고 못마땅해하는 선교사 호세 페러가 친구들에게 독설을 시작한다. “I know the look of immorality when I see it.”(난 부도덕은 한눈에 알아보지.) 페러를 늘 못마땅해하는 의사가 옆에서 빈정거린다. “And I know the sound of intolerance when I hear it.”(그리고 난 편협함의 소리는 한 번만 들어도 알아.) 선교사가 말끝(tag)에 붙인 when I see it과 그 말을 그대로 흉내 낸 의사의 when I hear it은 대화에서 앞부분의 진술 내용을 강조하는 뜻으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니까, I know ~ when I see(hear) it이라는 문장 형식을 잘 알아두기 바란다. |
--- English ---/Have a F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