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효의 Q-English]스타들은 밤이 와야 뜬다 | ||
입력: 2008년 07월 09일 14:52:07 | ||
대부분의 pun은 quip을 내장한 단어여서, 특히 stand-up comedy(1인 만담)에서 단발성 gag(익살)로 자주 동원되며, 영화대사에서는 alliteration만큼이나 널리 쓰이는 기법이니, 그 성격을 잠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감보(Mogambo)」에서 quip하는 pun을 찾아보자. 아프리카로 그녀를 초청한 인도인 백만장자가 급한 일이 생겨 고향으로 돌아가 버리는 바람에 에이바 가드너는 오지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된다. 불청객이 된 그녀를 무전취식시켜야 할 처지가 된 사냥 안내자 클락 게이블이 못 마땅해 하자 가드너가 오히려 화를 낸다.
여기에서 dark(깜깜한)은 “잘 알려지지 않은”이라는 뜻으로 쓰였으며, 고유명사 “Dark Continent(*우리말로는 ‘암흑대륙’이라고 했음)”는 19세기에서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유럽인들이 ‘오지(奧地)’로 간주했던 아프리카를 지칭하던 말이었다. 하지만 dark은 ‘어두운’이라는 뜻으로 더 널리 쓰이는 단어이고, 그래서 “어두운 대륙”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으니, 그녀에게는 flashlight(손전등)를 밝혀주는 남자라면 백마를 타고 온 왕자님만큼이나 반가운 존재이리라. dark이라는 한 단어가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 식의 이런 말장난을 pun이라고 한다. 참고로, 가드너의 말에서는 감각의 농도를 나타내는 세 가지 표현이 나타난다. 우선 첫 문장에서 don’t you get이라는 명령형에 그냥 don’t get(overstimulated)이라 하지 않고 you라는 주어를 넣음으로 해서, “너 섣불리 까불지 말라”고 훨씬 강력한 의미가 된다. 우리말에서도 “이러지 마”와 “너 이러지 마”는 어감의 차이가 확연하다. 보다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Don’t go”라고 할 때는 “가지 마세요”라고 부탁하는 차원이지만, “Don’t you go”는 “너 멋대로 갔다가는 골로 갈 줄 알아” 정도의 협박이 된다. 실제로 이런 형태의 명령형에서는 손가락으로 삿대질까지 곁들이면 제격이다. 두 번째 문장에 들어간 정관사 the (little gal)는 “진짜로 화를 내야 마땅한 사람은 바로 little gal,” 즉 가드너 자신이라고 강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부정관사 a를 썼을 때보다 훨씬 당사자나 발언의 주체를 마구 들이대는 화법이다. 세 번째 문장의 첫 단어 Only는 “모르면 몰라도 이것만큼은”이나 “아무리 그렇더라도 이것만큼은”이라고 역시 도드라지게 강조하는 효과를 낸다. 주제가 「케 세라 세라(Que Sera Sera)」가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받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걸작 「나는 비밀을 안다(The Man Who Knew Too Much)」의 첫 장면에서는 아버지 제임스 스튜어트와 어머니 도리스 데이와 함께 대낮에 아프리카의 공항에 도착한 소년이 “컴컴한 대륙(Dark Continent)이 왜 이렇게 환해요?”라고 순진하게 묻기도 한다. metaphor(은유)가 무엇인지를 모르는 어린 아이가 자연스럽게 빚어내는 pun이다. 우리말 제목을 정말이지 꼴불견으로 한심하게 붙인 「어게인스트(Against All Odds)」에서는 악덕 변호사의 여비서 스우지 컷츠가 제프 브릿지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Mrs. Wyler’s real business is real estate.”(와일러 부인이 진짜로 정진하는 사업은 부동산예요.) 변호사라는 직업보다 부동산 투기에만 눈독을 들인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두 개의 real은 pun으로 하는 quip을 멋지게 달성한다. 닐 사이먼 희곡이 원작인 「베벌리 힐스의 사생활(California Suite)」에서는 유명한 배우들이 모여 사는 베벌리 힐스에 도착한 월터 매타우가 집 주위를 둘러보며 형에게 묻는다. “Where are the stars? I don’t see any stars yet.”(스타들은 다 어딜 갔어? 나 아직 스타라고는 하나도 못봤어.) 형이 quip한다. “They come out at night.”(밤이 되어야 나오지.) 낮에 star(별)가 보일 리가 없다는 pun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번역극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던 「우리집 식구는 아무도 못말려(You Can‘t Take It With You)」에서 귀족들의 만찬 자리에 합석한 가난뱅이 처녀 진 아더에게 훌륭한 가문을 뽐내는 멜빌 경이 묻는다. “Well, Miss Sycamore, have you a family tree?”(시카모어 양, 당신 집에도 족보가 있나요?) family tree는 우리나라에서처럼 꼭 책으로 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가문의 영광을 나타내는 계보를 의미하며, genealogical tree라고도 한다. 계보를 나무(tree)처럼 그려놓기 때문에 그런 표현을 쓴다. ‘혈통’이나 ‘가계’를 뜻하는 말은 pedigree라고도 하며, 동물의 순수한 혈통을 나타내는 ‘족보’인 경우에는 family tree가 아니라 pedigree라고 한다. 평범한 집안의 딸인 아더가 그 질문을 받고 무안해서 어쩔 줄을 모르고, 그러자 옆에 앉아 있던 제임스 스튜어트가 pun이 담긴 quip으로 그녀를 멋지게 도와준다. “My dear sir, don’t you know that sycamore is a tree?”(선생님께서는 시카모어가 나무인 줄 모르셨나요?) 아더의 성 Sycamore는 ‘무화과나무’이고, 아더의 성이 나무 이름이고 보니 그녀의 family에는 분명히 나무 한 그루가 무럭무럭 자란다. pun을 잘 쓰면 이렇게 대단한 fun이 된다. |
--- English ---/Have a F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