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어(Romanian, Rumanian)
(John 3:16) Atât de mult a iubit Dumnezeu lumea, încât Şi-a dat singurul Fiu, pentru ca oricine crede în El sâ nu piarâ, ci sâ aibâ viaţâ veşnicâ.
(John 3:16)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
루마니아어 română (로므너) | ||
---|---|---|
쓰는 나라들 | 루마니아, 몰도바, 러시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헝가리, 캐나다, 미국 | |
지역 | 발칸 반도 | |
언어 인구 | 2900만 명 | |
사용 순위 | 36 | |
언어의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탤릭어파 로망스어군 동부 로망스어군 다키아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루마니아, 몰도바, 보이보디나(세르비아), 유럽 연합 | |
표준 | Academia Română |
루마니아어는 다른 로망스어 보다 더 고답적이면서 동시에 인접한 비 로망스어들(헝가리어, 알바니아어, 여러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아왔었다. 다양한 형태의 루마니아어가 신생국몰도바(Moldova)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그곳에서는 키릴문자로 쓰여져 있다. 고유한 루마니아어를 사용하는 인구수는 루마니아 거주민 22,000,000명 가운데 20,000,000명이다.
서 로망스어들과는 달리 발칸 로망스어는 라틴 문화권과 교류가 단절되었기 때문에 13세기부터 루마니아 어휘와 고유명사들이 키릴문자로 고대 교회 슬라브 성서에 표기되기 시작했다. 18세기 중엽부터 고조되기 시작한 라틴 문화의 복고 운동과 19세기 중엽 두 공국이 연합될 때(1859년)까지도 키릴문자의 퇴치가 완전히 달성되지 못하였으며, 1860년에 이르러서야 키릴문자에서 오늘날과 같은 라틴(로마) 자모의 도입이 가능케 되었다. (이문수, 1993:423에서 인용).
루마니아어의 몇 가지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Katzner, 1995).
1) 현재 사용되는 알파벳은 로마자에 다음과 같은 4개의 특수한 글자를 포함한 것이 특 징이라 하겠다: (1) ǎ: 비 강세 모음 (vagǎ 여름), (2) î: 후두음 모음(gît 목), (3) ş: sh 로 발음(şase: 여섯), (4) ţ: ts로 발음(preţ: 가격).
2) 정관사는 영어와는 달리 불가리아어나 스칸디나비아어 처럼, 명사뒤에 접미사로 붙는 다 (rege: king, regele: the king).
3) 다른 로망스어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루마니아어 어휘들은 다음과 같다: casǎ, arbore, legumǎ, ascensor, dulce, verde.
1) 루마니아 문화단편
루마니아 민속 문화 루마니아에서는 시골집들의 모양, 민속의상, 민예품, 민속음악, 민속춤 같은 민속 문화가 2000년 전 모습 그대로 지금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들이 많다. 이는 바바리안(barbarian)들이 수없이 여러 번 침략해 왔고, 로마제국이 지금의 루마니아 땅을 정복하였지만 루마니아인들의 정신은 지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루마니아인들은 신념과 문화를 지켜냈다. 이것은 루마니아가 슬라브 민족으로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라틴의 문화나 풍습을 잃지 않을 수 있었던 정신 바탕이 된다. 루마니아가 슬라브권 바다에 외로이 떠있는 고요한 라틴의 섬이라 불리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루마니아의 풍속, 전통문화, 민속문화들은 루마니아 민족의 나이만큼이나 오래된 것들이다. 그리고 루마니아는 오랜 ORTODOX (오르토독스 : 정교회) 신앙을 유지해 왔다. 이 신앙은 토속 문화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루마니아의 민속 문화와 풍습, 그리고 명절들은 오르토독스 신앙에 기초한 것들이 매우 많다. (주한 루마니아 명예영사관 제공).